경제·부동산75 보금자리론 2017년 6월 금리 동결 (연 2.80~3.15%) 한국주택금융공사(HF)의 장기 고정금리·분할상환 주택담보대출인 보금자리론의 6월 금리가 동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아낌e-보금자리론' 금리는 연 2.80%(10년)∼3.05%(30년)로 유지되고, 'u-보금자리론'과 은행에서 신청하는 't-보금자리론'도 연 2.90%(10년)∼3.15%(30년) 금리가 적용됩니다. 2017. 5. 28. 가계부채와 한국경제 리스크 최근 한국은행이 금융기관 전문가들을 상대로 우리나라 금융시장을 위험하게 만들 수 있는 리스크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그랬더니 전체 전문가의 63%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의 중앙은행이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걸 꼽았고, 전체 전문가의 71%는 북한 등 우리 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꼽았습니다. 그리고 가장 많은 85%의 전문가가 리스크로 뽑은 것이 바로 가계부채 문제였습니다. 지난 10월에 똑같은 질문을 했을 때에는 가게부채가 위험하다는 응답이 70%였으니까 불과 반년 만에 가계부채 리스크가 더욱 커진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가계 부채 규모는 계속 블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1분기에도 특히 제2금융권 대출이 늘어나면서 17조원 이상 불어났는데요.어떤 위.. 2017. 5. 26. 조중동, 한경오 무슨 뜻? '조중동'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보수 언론의 대표적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그런데 요즘 조중동과 함께 '한경오'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로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등의 진보언론을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이들 진보언론을 줄여서 부르는 이유는 비판받기 때문인데, 비판받는 이유가 관심을 갖게 만듭니다. 바로 '가난한 조중동'이라는 별명(?) 때문인데요. 일반적으로 조중동이라면 그들 언론이 가진 신념(?)을 위해서 기사의 논지와 방향 뿐만 아니라 왜곡, 아전인수까지 하는 것으로 대중에게 인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의 정부가 출범한 이후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한경오의 권위주의와 편향적인 논조 등이 문제라는 인식이 형성되어 이들을 향한 비.. 2017. 5. 21. 공정거래와 기업성장 매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 10개를 발표합니다. 지난 1월에 발표한 세계 10대 기업 가운데서 10년 전에 10대 기업 안에 들어있던 기업은 단 3개입니다. 7개 기업이 탈락하고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같은 IT기업이 새로 들어간 것입니다. 세계 기업들 가운데에는 이런 변화가 있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짐작하시겠지만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10년 전 1등이 지금도 1등입니다. 그렇다고 1등한 기업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새로운 기업들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진짜 문제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그동안 재벌 저격수로 유명했던 김상조 교수가 공정거래위원장에 내정됐습니다. 많은 기대와 우려가 교차되는 .. 2017. 5. 1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9 다음